1
계약금 반환 요구가 거절당했다면 어떻게 하나요?
최근 한 직장인이 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본 아파트 분양 광고를 보고 상담을 받게 되었습니다. 전화 상담 후 모델하우스 방문까지 이어졌고 계약을 체결했지만, 개인 사정으로 계약 해제가 필요한 상황이 되었습니다.
? 전화권유판매의 특별한 보호
이 사례에서 주목할 점은 전화권유판매 방식으로 계약이 이루어졌다는 것입니다. 전자상거래법에 따르면 전화권유판매는 특별한 보호를 받습니다.
핵심 권리: 계약일로부터 14일 이내 청약철회 가능하며, 계약금 전액 환불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양업체들이 이러한 법적 근거를 인정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특히 부동산 거래는 전화권유판매 적용 대상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내용증명을 보냈는데도 무시한다면 어떻게 하나요?
내용증명을 보냈음에도 상대방이 계속 버티는 상황에서는 더 강력한 법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이때 고려해야 할 선택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추가 협상 시도
변호사 명의로 재차 내용증명 발송하여 심리적 압박 가하기
2
조정 신청
법원 조정이나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활용으로 비용 절약
3
소송 제기
지방법원에 계약금 반환 소송 제기로 강제 집행 가능
? 소송 제기의 효과
상대방이 더 이상 무시할 수 없는 법적 압박
피고 입장에서 변호사 비용과 시간 소요 부담
패소 시 손해배상 위험으로 인한 태도 변화
강제집행을 통한 확실한 회수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