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송비용 계산서에 실제 안 낸 변호사비 500만원 적어도 사기미수 무죄 받은 판례
이런 일이 실제로 있었습니다. A씨가 법원에서 승소한 후 소송비용을 상대방에게 받기 위해 소송비용액확정결정을 신청했습니다. 그런데 계산서에 실제로는 변호사를 선임하지 않았음에도 변호사비 500만원을 적어 냈습니다. 당연히 사기죄로 기소되었지만, 대법원 판단은 의외였습니다.
"허위 소명자료 제출 없이 단순 허위 주장만으로는 사기죄 성립 어려워"
대법원은 소송비용 사기의 성립 요건을 엄격하게 해석했습니다:
재판비용: 법원에 직접 내는 비용
당사자비용: 제3자에게 직접 지출
• 허위 영수증 제출: 가짜 변호사비 영수증 첨부
• 계약서 조작: 실제와 다른 수임계약서 제출
• 금액 조작: 실제 금액보다 부풀린 증빙서류
• 사실 은폐: 할인이나 무료 변론 사실 숨김
처벌: 사기죄 성립시 10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벌금
피고인이 실제로 한 행위
소송에서 이긴 당사자가 진 쪽에게 소송비용을 받기 위한 제도입니다:
• 민사 손해배상: 상대방이 손해배상 청구 가능
• 변호사 징계: 변호사가 과다 청구시 징계 사유
• 소송비용 부담: 무리한 청구시 오히려 비용 부담
• 신뢰도 하락: 향후 소송에서 신빙성 문제
이번 판례는 소송비용 사기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단순히 금액을 잘못 기재한 것만으로는 사기죄가 성립하지 않으며, 반드시 구체적인 기망행위가 있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기억하세요! 법원을 속이려는 적극적 행위 없이 단순한 허위 기재만으로는 사기죄가 성립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허위 기재를 정당화하는 것은 아닙니다. 정확하고 성실한 소송비용 신청이 원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