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광고6

법학이야기

집 밖으로 던진 저장매체 영장없이 압수해도 된다는 대법원 판례

촤고관리자
등록일 | 2025-08-18 조회수 | 0
집 밖으로 던진 저장매체 영장없이 압수해도 된다는 대법원 판례
대법원 판례 분석

집 밖으로 던진 저장매체 영장없이 압수해도 된다는 대법원 판례

유류물로 인정되면 관련성 제한 없이 전체 내용 수사 가능, 참여권도 보장 안 해도 돼

판례번호
2021도1181
선고일
2024. 7. 25.
원심법원
서울고법
적용법조
형사소송법 제218조
?

충격적인 실제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서울의 한 아파트에서 압수수색영장이 집행되자, 피의자가 급하게 SSD 저장매체가 든 신발주머니를 고층 아파트 밖으로 던져버렸습니다. 경찰이 이를 발견해 영장 없이 압수했는데, 과연 이 증거가 법정에서 인정될까요?

사건의 전말

1
압수수색영장 집행
서울서부지법이 발부한 압수수색영장으로 피의자 거주지 수사가 시작되었습니다.
2
저장매체 투척
피의자가 영장 집행을 알아차리고 급하게 SSD카드가 든 신발주머니를 아파트 밖으로 던져버렸습니다.
3
소유권 부인
경찰이 발견한 저장매체의 소유자가 맞는지 질문하자 피의자가 소유권을 부인했습니다.
4
유류물 압수
경찰이 이를 유류물로 판단해 영장 없이 압수하고 내용을 탐색했습니다.
5
2심 증거능력 부정
서울고법은 "참여권 미보장, 관련성 부족" 이유로 증거능력을 부정했습니다.
6
대법원 뒤집기
대법원이 "유류물은 관련성 제한 없다"며 원심 파기 판결을 내렸습니다.
대법원 최종 판단

"유류물 압수에는 관련성 제한이 없고, 참여권 보장도 필수가 아니다"

유류물과 일반 압수의 결정적 차이

대법원이 밝힌 핵심 법리는 이렇습니다:

  • 일반 압수: 해당 사건과 관련 있는 것만 압수 가능
  • 유류물 압수: 관련성 제한 없이 전체 내용 수사 가능
  • 참여권: 유류물은 소유권이 포기된 상태라 참여권자 없음
  • 영장 불요: 형사소송법 제218조에 영장 요구 조항 없음

2심 vs 대법원 판단 비교

2심 서울고법 판단 (파기된 판결)
  • 참여권 미보장: 저장매체 탐색시 피의자 참여 안 시킴
  • 관련성 부족: 원래 혐의사실과 직접 관련 없는 내용
  • 영장 범위 벗어남: 영장 기재 수색 장소와 다른 곳에서 발견
  • 증거능력 부정: 위법수집증거로 판단
대법원 판단 (최종 확정)
  • 유류물 성질: 소유권 포기된 물건은 별도 취급
  • 관련성 무제한: 해당 사건과 무관해도 압수 가능
  • 참여권 불요: 권리 포기 상태라 참여권자 없음
  • 증거능력 인정: 적법한 유류물 압수로 판단
유류물로 인정되는 조건들

대법원이 제시한 유류물 판단 기준:

  • 권리 포기: 소유자가 소유권을 명시적으로 포기
  • 포기 추정: 포기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상황
  • 관리권 상실: 현실적 지배관리권이 없는 상태
  • 외관상 판단: 수사기관이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상황

실무에 미치는 파장

수사기관에게 유리한 변화
  • 수사 범위 확대: 원래 혐의와 무관한 다른 범죄도 수사
  • 절차 간소화: 영장 없이도 디지털 증거 전체 분석
  • 참여권 배제: 피의자 참여 없이도 적법한 수사
  • 증거 확보: 우연히 발견한 다른 범죄 증거도 활용
변호사들의 대응 전략
  • 소유권 주장: 유류물 인정 자체를 다투는 전략
  • 포기 의사 부인: 진정한 권리 포기가 아니었다고 주장
  • 수사기관 악의: 포기 사실을 알면서도 악용했다고 주장
  • 비례성 원칙: 과도한 수사로 인권 침해라고 주장
일반인이 주의해야 할 점들
  • 물건 버리기 금지: 급해도 저장매체를 함부로 버리면 안됨
  • 소유권 명확히: 본인 물건이면 끝까지 소유권 주장
  • 디지털 보안: 평소 저장매체 암호화로 보안 강화
  • 즉석 삭제 금지: 증거인멸죄로 더 큰 처벌 받을 수 있음
유사한 상황들과 대처법

길에서 핸드폰 떨어뜨린 경우: 즉시 소유권을 주장하고 수거 요구

차량에서 USB 발견된 경우: 본인 소유라면 명확히 주장

사무실 압수수색 중: 개인 저장매체는 별도 보관 요청

인터넷 카페 등: 개인 파일 저장 후 반드시 삭제 확인

법조계 반응과 전망

우려의 목소리들

일부 법조인들은 이 판례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습니다:

  • 수사권 남용: 피의자 권리보다 수사 편의성 우선
  • 디지털 인권: 개인정보 보호 원칙과 충돌
  • 절차적 정당성: 적정절차 원칙 위반 소지
  • 사법부 역할: 수사기관에 너무 관대한 해석
앞으로 달라질 점들
  • 수사 관행: 유류물 압수가 더 적극적으로 활용될 전망
  • 변호 전략: 유류물 인정 자체를 다투는 사건 증가
  • 입법 논의: 디지털 증거 관련 법률 개정 논의
  • 국민 의식: 디지털 보안에 대한 경각심 증가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수사 패러다임이 열렸습니다. 물건을 버린다고 해서 수사를 피할 수 있다는 생각은 이제 위험한 착각입니다. 오히려 유류물로 인정되면 더 광범위한 수사가 가능해집니다. 평소 디지털 보안을 철저히 하고, 위급한 상황에서도 침착하게 대응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