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수사항 추가할 때 준수기간 반드시 명시해야, 기간 없는 결정은 법률 위반
이런 일이 실제로 있었습니다. 전자발찌를 부착한 대상자가 술에 취해 범죄를 저지르자, 법원이 "음주금지" 준수사항을 추가했습니다. 그런데 법원이 이 준수사항의 준수기간을 명시하지 않았고, 이것이 법률 위반인지 문제가 됐습니다.
"준수사항 추가시 반드시 준수기간 명시해야, 법률 위반" (원심 파기환송)
약 7년간 기간 없는 준수사항: 2017년부터 계속 기간이 명시되지 않은 채 음주금지 의무 부과
• 재범 위험 증가: 새로운 범죄 행위나 위험 징후
• 기존 준수사항 부족: 현재 조치로는 재범 방지 어려움
• 상당한 이유: 준수사항 추가가 필요한 객관적 근거
• 비례성: 추가되는 제한이 위험에 비례
• 기간 누락: "혈중알코올농도 0.05% 이상 음주금지" 준수사항의 기간 미명시
• 해석 불가: 결정 주문으로도 준수기간을 추정할 수 없음
• 법률 위반: 전자장치부착법 제9조의2 제1항 명백 위반
• 원심 유지: 2심도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하고 그대로 유지
• 예측불가능성: 언제까지 준수해야 하는지 모름
• 과도한 제약: 필요 이상의 기본권 제한
• 법적 불안정: 자의적 집행 가능성
• 인권 침해: 기본권 제한의 명확한 한계 필요
• 사정변경 인정: 준수사항 추가가 필요한 객관적 변화
• 상당성 판단: 추가 제한이 상당한 이유가 있는지
• 기간 설정: 반드시 잔여 부착기간 범위에서 명확히
• 최소 침해: 목적 달성에 필요한 최소한의 제한
• 명시 의무: 기간 명시 의무를 더욱 명확히 규정
• 표준 기간: 준수사항별 표준 기간 가이드라인
• 검토 주기: 정기적 재평가 및 조정 시스템
• 구제 절차: 부당한 준수사항에 대한 신속한 구제
• 준항고: 법원 결정에 대한 준항고 신청
• 재항고: 고법 결정에 불복시 대법원 재항고
• 변경 신청: 사정변경시 준수사항 변경 신청
• 헌법소원: 기본권 침해시 헌법재판소 제소
기억하세요! 전자발찌 제도는 사회 안전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지만, 그 운영은 반드시 법률에 따라 정확하고 공정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준수사항의 기간을 명시하지 않는 것은 법률 위반일 뿐만 아니라 피부착자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행위입니다. 모든 제한은 명확한 근거와 기간을 가져야 하며, 이를 통해 제도의 실효성과 정당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