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광고6

법학이야기

병원 압수수색 중 치과위생사가 압수수색에 참여하면 위법하다는 판례

촤고관리자
등록일 | 2025-08-18 조회수 | 0
치과위생사 압수수색 참여 위법 대법원 판례
대법원 판례 분석

병원 압수수색 중 치과위생사가 압수수색에 참여하면 위법하다는 판례

경찰 외에 제3자가 압수수색 전 과정 참여시 위법, 강제처분 법정주의 위반으로 압수물 취소

판례번호
2020모3326
선고일
2024. 12. 16.
원심법원
인천지법 부천지원
적용법조
형사소송법 제199조, 제219조
?

경찰이 치과병원을 압수수색했는데 문제가 생겼습니다. 경찰관들과 함께 생명보험협회 소속 치과위생사가 들어와서 약 3시간 동안 압수수색 전 과정에 참여했습니다. 서류를 분류하고, 컴퓨터를 뒤지고, 심지어 촬영까지 했는데 이게 과연 합법일까요?

사건의 전말

1
압수수색영장 발부
경찰이 인천지법 부천지원에서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았습니다.
2
치과병원 진입 (12:24)
경찰관 6명과 함께 생명보험협회 소속 치과위생사가 부천의 한 치과병원에 진입했습니다.
3
서류 열람 참여 (12:29)
치과위생사가 경찰관이 소지한 서류에 자유롭게 접근하여 열람했습니다.
4
촬영 및 분류 작업
경찰 휴대폰으로 직접 촬영하고, 압수대상 문서를 분류하는 작업을 수행했습니다.
5
PC 탐색 및 진료기록 확인
간호사 PC를 탐색하고 환자 진료기록부를 확인하며 노트에 기록했습니다.
6
압수 완료
37명의 진료기록부와 업무용 수첩, 전자정보 등을 압수했습니다.
대법원 최종 판단

"제3자 참여는 위법, 압수처분 취소"

압수수색에 참여할 수 있는 사람들

법정 참여권자:

  • 검사: 수사를 지휘하는 검사
  • 피고인: 피의자 본인
  • 변호인: 피의자를 대리하는 변호사
  • 주거주/간수자: 집주인이나 건물 관리인
  • 이웃사람/공무원: 주거주 등이 없을 때 대신 참여
  • 성년 여자: 여성 신체 수색시에만
제3자 참여가 허용되는 예외적 경우

대법원은 아주 제한적인 경우에만 허용된다고 했습니다:

  • 의료행위 필요: 강제채혈, 강제채뇨 등 의료인만 가능한 행위
  • 기술적 보조: 잠금장치 해제, 전자정보 복호화, 중량물 운반
  • 도품 특정: 환부 대상 도품의 특정을 위해 필요한 경우
  • 엄격한 감독: 사법경찰관의 엄격한 감시하에서만

왜 이번 사안이 위법한가

치과위생사 참여의 문제점

1. 예외 사유 해당 안 함:

  • 의료행위가 필요한 상황이 아님
  • 단순 기술적 보조를 넘어선 적극적 참여
  • 환부 대상 물품도 아님

2. 이해관계 문제:

  • 생명보험협회 소속으로 보험사와 이해관계 동일
  • 중립적 제3자가 아닌 이해당사자
강제처분 법정주의란

형사소송법 제199조는 "강제처분은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만" 허용한다고 명시했습니다.

  • 법률 근거 필수: 형사소송법에 근거 없는 강제처분 금지
  • 최소한 원칙: 필요한 최소한도 범위에서만
  • 기본권 보호: 주거의 자유, 사생활 비밀과 자유 보장
  • 적법절차: 헌법 제12조 적법절차 원칙 준수

실제 처벌과 효력

압수처분 취소 확정

대법원 결정: 원심 파기환송

위법성 인정: 강제처분 법정주의 위반

기본권 침해: 주거의 자유, 사생활 비밀 침해 중대

결과: 압수한 모든 증거물이 무효가 될 가능성

피압수자가 알아야 할 권리
  • 참여자 확인권: 압수수색 참여자 신분과 자격 확인 요구
  • 영장 제시 요구: 압수수색영장 제시 및 내용 확인
  • 참여권 행사: 본인 또는 변호인 참여 권리
  • 촬영 거부권: 불법적 촬영이나 기록에 대한 거부
  • 이의제기권: 절차 위반시 즉시 이의제기

수사기관이 지켜야 할 원칙

압수수색 적법 절차
  • 법정 참여자만: 형사소송법이 정한 사람만 참여 허용
  • 사전 통지: 참여권자에게 일시, 장소 사전 통지
  • 영장 준수: 영장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만 수색
  • 최소 침해: 필요 최소한도 범위에서 집행
  • 기록 보존: 압수수색 과정의 적절한 기록
절대 피해야 할 상황들

수사기관 입장에서:

  • 이해관계자 참여: 피해자나 관련 단체 직원 참여
  • 전문가 임의 참여: 예외 사유 없는 전문가 동반
  • 적극적 역할 부여: 제3자에게 수사 행위 위임
  • 감독 소홀: 참여자 행동에 대한 통제 부족

기억하세요! 압수수색은 강력한 수사권한이지만, 그만큼 엄격한 법적 절차를 지켜야 합니다. 법정 참여자가 아닌 제3자가 수사 과정에 개입하면 모든 증거가 무효가 될 수 있으니, 수사기관도 시민도 이 원칙을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