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광고6

법학이야기

선거법 위반 압수수색 영장 집행의 적법성 기준 대법원 판례

촤고관리자
등록일 | 2025-08-18 조회수 | 1
선거법 위반 압수수색 적법성 판례
대법원 판례 분석

선거법 위반 압수수색 영장 집행의 적법성 기준

지방선거 후보자 기부행위 수사 과정에서 확보한 선거운동원 증거의 적법성을 인정한 대법원 판례

판례번호
2024도17385
선고일
2025. 2. 13.
원심법원
광주고법
적용법조
형소법 제215조, 공선법
⚖️

선거철, 이런 일이 벌어졌습니다. 2022년 지방선거에서 군수 후보가 된 A씨가 부의금 명목으로 20만원을 한 농민에게 건넸다는 신고가 들어왔습니다. 수사기관이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아 A씨 사무실을 뒤지던 중, A씨뿐만 아니라 선거운동원들의 불법 활동 증거까지 발견됐습니다. 과연 이 증거들이 법정에서 사용될 수 있을까요?

사건의 전말

1
신고 접수
2022년 3월, 수사기관에 "후보자가 농민에게 부의금 20만원을 줬다"는 제보가 접수됐습니다.
2
피해자 조사
농민은 "전혀 모르는 사람이 갑자기 와서 명함과 함께 20만원을 건네고 갔다"고 진술했습니다.
3
CCTV 확보
비닐하우스 CCTV에 후보자가 직접 현금을 전달하는 결정적 장면이 녹화되어 있었습니다.
4
압수수색영장 발부
법원이 후보자의 거주지와 연구소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을 발부했습니다.
5
추가 증거 발견
수색 과정에서 후보자뿐 아니라 선거운동원들의 불법 금품 제공 증거까지 발견됐습니다.
6
증거 적법성 다툼
피고인들이 "영장 범위를 벗어난 위법수집증거"라며 증거능력을 다뤘습니다.
7
대법원 최종 판단
대법원이 모든 증거의 적법성을 인정하며 유죄를 확정했습니다.
대법원 최종 판단

"압수수색영장 범위 내에서 확보한 증거, 모두 적법하다"

압수수색영장의 관련성 기준

대법원이 제시한 "해당 사건과 관계가 있다"의 의미:

  • 객관적 관련성: 혐의사실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관
  • 인적 관련성: 영장 대상자와 피의자 간 관계 존재
  • 증명 가치: 최소한의 증명 가치가 있는 증거
  • 구체적 연관: 단순 동종 범죄가 아닌 개별적 연관관계

법리 해석의 핵심

객관적 관련성이 인정되는 경우

압수수색영장에 기재된 혐의사실과 관련성이 인정되는 증거:

  • 직접 증거: 혐의사실 자체를 증명하는 증거
  • 간접 증거: 범행 동기, 경위, 수단, 방법을 증명
  • 정황 증거: 범행 시간, 장소 등을 뒷받침하는 증거
  • 보강 증거: 피의자 진술의 신빙성 판단 자료
이 사건에서 관련성이 인정된 이유

• 동일한 목적: 모든 행위가 후보자 당선이라는 같은 목표

• 의사연락: 후보자와 선거운동원 간 포괄적 지시관계

• 사전 단서: 영장 발부 전 이미 공범 수사 단서 확보

• 범위 준수: 영장에 명시된 압수 대상 범위 내에서 집행

• 증명 가치: 후보자 범행의 동기와 경위를 보강하는 증거

압수수색영장 집행 기준

수사기관이 고려해야 할 요소
  • 범죄의 속성: 선거범죄의 조직적, 연속적 특성
  • 혐의사실 내용: 영장에 기재된 구체적 혐의
  • 증거의 특징: 발견된 증거의 성격과 내용
  • 수사 경위: 영장 발부까지의 수사 과정
  • 수사기관 인식: 영장 집행 당시의 의도
  • 추가 수사 개연성: 여죄나 공범 수사 필요성
  • 기본권 침해: 압수수색으로 인한 권리 침해 정도
실무에서 주의할 점
  • 영장 범위: 압수 대상을 구체적으로 특정해 기재
  • 관련성 소명: 여죄나 공범 가능성을 충분히 소명
  • 현장 판단: 발견 즉시 관련성 여부 신중히 검토
  • 집행 기록: 압수 과정과 근거를 상세히 기록
  • 범위 준수: 영장에 없는 완전 별개 증거는 배제
위법수집증거가 되는 경우

• 무관한 범죄: 영장 혐의와 완전히 별개인 범죄 증거

• 범위 일탈: 영장에 명시되지 않은 장소나 물건

• 관련성 부족: 구체적, 개별적 연관관계가 없는 경우

• 탐색적 수색: 명확한 목적 없이 무작정 뒤지는 행위

선거범죄 수사의 특수성

왜 관련성 기준이 유연한가

선거범죄는 다른 범죄와 달리 특별한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 조직성: 후보자와 선거운동원들의 조직적 범행
  • 연속성: 선거 기간 내 지속적으로 발생
  • 은밀성: 대부분 은밀하게 이루어져 발각 어려움
  • 증거 인멸: 선거 후 증거 인멸 가능성 높음
  • 공익성: 선거의 공정성이라는 중대한 공익 관련
시민이 알아야 할 권리
  • 영장 확인권: 압수수색시 반드시 영장 제시 요구
  • 참여권: 압수수색 과정에 참여할 권리
  • 거부권: 영장 범위를 벗어난 요구는 거부 가능
  • 이의 제기: 위법한 압수수색에 대한 이의신청
  • 변호인 도움: 압수수색 전후 변호인 조력 요청
선거법 위반 처벌

기부행위 금지 위반: 3년 이하 징역 또는 600만원 이하 벌금

제3자 기부행위: 2년 이하 징역 또는 400만원 이하 벌금

당선무효: 당선된 후에도 무효 처리 가능

공민권 정지: 5년간 선거권, 피선거권 제한

기억하세요! 선거는 민주주의의 꽃입니다. 하지만 그 과정이 불법으로 얼룩져서는 안 됩니다. 이번 판례는 선거범죄 수사에서 증거 수집의 적법성 기준을 명확히 했습니다. 선거에 참여하는 모든 이들이 법을 준수하고, 공정한 선거 문화를 만들어가야 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