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씨는 전남편 B씨가 양육비를 제대로 안 줘서 법원에 이행명령을 신청했습니다. 밀린 양육비는 3,416만 원이었는데, 인천가정법원은 4,000만 원을 내라고 명령했어요.
어? 밀린 게 3,416만 원인데 왜 4,000만 원을 내라고 했을까요? 법원이 실수한 걸까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 걸까요? 대법원은 이 상황을 어떻게 판단했을까요? 이행명령의 한계를 명확히 한 중요한 사건입니다.
대법원 "이행명령은 밀린 금액 범위 내에서만 가능" - 양육비 이행명령의 한계와 범위 명확화한 중요 판결
A씨는 전남편 B씨가 양육비를 제대로 안 줘서 법원에 이행명령을 신청했습니다. 밀린 양육비는 3,416만 원이었는데, 인천가정법원은 4,000만 원을 내라고 명령했어요.
어? 밀린 게 3,416만 원인데 왜 4,000만 원을 내라고 했을까요? 법원이 실수한 걸까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 걸까요? 대법원은 이 상황을 어떻게 판단했을까요? 이행명령의 한계를 명확히 한 중요한 사건입니다.
지급 의무: 4,320만 원
실제 지급: 904만 원
미지급액: 3,416만 원
원심 명령: 4,000만 원 (584만 원 초과!)
가정법원은 금전지급의무 등에 대하여 과태료나 감치를 통해 이행을 촉구할 수 있다.
이미 확정된 권리를 실현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새로운 권리를 만들거나 기존 의무를 바꾸는 게 아니라 정해진 의무의 이행을 강제하는 거예요.
권리 확정과 권리 실현을 구분해야 합니다. 이행명령은 권리를 확정하는 절차가 아니라 이미 확정된 권리를 실현하는 절차라는 점에서 강제집행과 같아요.
확정된 의무의 내용을 변경하거나 새로운 의무를 창설할 수 없습니다. 오직 이행하지 않은 의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서만 명령할 수 있어요.
"이행명령은 밀린 의무의 범위를 넘어서는 안 된다"
밀린 양육비가 3,416만 원인데 4,000만 원을 내라고 명령한 것은 명백히 이행하지 않은 의무의 범위를 초과한 것입니다.
584만 원의 초과 부분은 양육비부담조서에 없던 새로운 의무를 만든 것이므로 허용될 수 없습니다.
이행명령으로는 확정된 의무의 내용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이미 정해진 금액을 임의로 늘릴 수 없어요.
권리 확정과 권리 실현을 혼동하면 법적 안정성이 깨집니다. 이미 정해진 것은 그 범위에서만 강제할 수 있어야 예측 가능한 법질서가 유지돼요.
이행명령 신청 때 정확한 미지급 금액을 계산해야 합니다. 실수로라도 범위를 초과하면 파기환송될 수 있어요.
욕심내서 더 많은 금액을 신청하면 오히려 전체가 기각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미지급액만 신청하는 게 안전해요.
이행명령이 아닌 별도의 양육비 증액 심판을 신청해야 합니다. 이행명령으로는 기존 금액을 늘릴 수 없어요.
이번 판결로 이행명령의 한계가 명확해졌습니다. 앞으로는 정해진 범위 내에서만 강제할 수 있다는 원칙이 확실해졌어요.
이행명령은 이미 정해진 의무의 범위를 절대 넘을 수 없다. 밀린 양육비가 3,416만 원이면 그 금액 이하에서만 이행을 명령할 수 있고, 임의로 4,000만 원을 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더 많은 양육비가 필요하다면 이행명령이 아닌 별도의 증액 심판을 받아야 해요. 이번 판결로 권리 확정과 권리 실현의 구분이 명확해졌고, 이행명령 제도의 한계가 분명히 정해졌습니다. 결국 법원도 정해진 룰 안에서만 움직여야 한다는 법치주의의 기본 원칙이 재확인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