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광고6

법학이야기

편의점에서 파는 게임머니 PIN번호도 상품권이라 인지세 내야 할까? 온라인게임 핀번호 문서 판례

촤고관리자
등록일 | 2025-08-20 조회수 | 0
편의점에서 파는 게임머니 PIN번호도 상품권이라 인지세 내야 할까? 대법원 "게임머니는 물품도 용역도 아닌 무체물, 엄격해석으로 인지세 부과 안 돼" 온라인게임 핀번호 문서 사건
대법원 판례 분석

편의점에서 파는 게임머니 PIN번호도 상품권이라 인지세 내야 할까?

대법원 "게임머니는 물품도 용역도 아닌 무체물, 엄격해석으로 인지세 부과 안 돼" - 온라인게임 핀번호 문서 사건

판례번호
2024두62738
선고일
2025. 3. 27.
원심법원
서울고법
결과
상고기각
?

○○○회사는 편의점에서 게임머니를 살 수 있는 PIN번호가 적힌 종이를 팔았습니다. 세무서는 "이것도 상품권이니까 인지세를 내라"고 했어요.

핵심 쟁점은 게임머니 구매용 PIN번호 문서가 인지세법상 '상품권'에 해당하는가였어요. 세무서는 상품권과 같다고 봤지만, 대법원은 "게임머니는 물품도 용역도 아닌 무체물"이라며 인지세 부과를 거부했습니다.

인지세법상 상품권의 까다로운 정의

이 사건의 배경

결제대행업체가 편의점을 통해 판매하는 게임머니 PIN번호 - 이용자는 이 번호로 온라인게임에서 게임머니를 충전할 수 있어요.

구 인지세법 제3조 제1항 제8호

인지세 납부 대상: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상품권 및 선불카드

구 인지세법 시행령 제5조의2 제1항

상품권이란: 발행자가 일정한 금액이나 물품 또는 용역의 수량을 기재하여 발행한 무기명증표로서, 그 소지자가 발행자 등으로부터 물품 또는 용역을 제공받을 수 있는 증표

핵심 쟁점

게임머니가 인지세법 시행령에서 말하는 '물품' 또는 '용역'에 해당하는가? 이것이 상품권 여부를 가르는 결정적 기준이었어요.

세무서 vs 납세자의 치열한 공방

세무서 입장 (패소)
  • 실질적 기능: 상품권과 동일한 결제 수단
  • 편의점 판매: 기존 상품권과 같은 유통구조
  • 무기명증표: 소지자가 누구든 사용 가능
  • 과세 형평성: 같은 기능이면 같은 세금
납세자 입장 (승소)
  • 게임머니 성격: 물품도 용역도 아닌 무체물
  • 엄격해석 원칙: 조세법은 확대해석 불가
  • 법령 문언: '물품 또는 용역' 요건 불충족
  • 권리의 성격: 재산적 가치 있는 권리에 불과
대법원의 핵심 판단

"게임머니는 재산적 가치가 있는 권리 또는 무체물에 불과하여 엄격해석 원칙상 '물품' 또는 '용역'으로 볼 수 없다"

조세법 엄격해석 원칙의 적용

1. 조세법률주의의 핵심

과세요건은 엄격하게 해석해야 하고 확장해석이나 유추해석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원칙을 명확히 했어요.

2. 게임머니의 법적 성격

게임머니는 '재산적 가치가 있는 권리 또는 무체물'일 뿐 인지세법 시행령에서 말하는 '물품'이나 '용역'이 아니다라고 판단했습니다.

3. 법령 문언의 엄격 적용

시행령에서 명시한 '물품 또는 용역' 요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아무리 실질적 기능이 비슷해도 상품권으로 볼 수 없다는 입장이에요.

4. 디지털 자산의 한계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형태의 재산적 권리라도 기존 세법의 명확한 문언 범위를 벗어나면 과세 대상이 아니다라는 원칙을 확립했어요.

게임업계와 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

게임업계 부담 경감

게임머니 관련 PIN번호나 충전권에 대해 인지세 부담이 없어져서 게임업계와 결제대행업체의 세금 부담이 크게 줄어들었어요.

세무 당국의 과세 한계

디지털 컨텐츠나 가상자산에 대한 무분별한 인지세 부과가 법적 한계에 부딪혔다는 것을 보여줬어요.

입법적 대응 필요성

디지털 시대에 맞는 새로운 과세 체계가 필요하다면 명확한 법령 개정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어요.

유사 업계 안정성

암호화폐, NFT, 메타버스 자산 등 다른 디지털 자산 관련 업체들도 기존 세법의 무분별한 확대 적용에서 어느 정도 보호받을 수 있게 됐어요.

조세법 해석의 기본 원칙 재확인

잘못된 접근
  • 기능 중심 해석: 기능이 비슷하면 같은 세금
  • 확장해석: 세법 조문을 넓게 해석
  • 유추적용: 비슷한 것에 같은 규정 적용
  • 과세 형평성: 세수 확보 우선
올바른 접근
  • 문언 중심 해석: 법조문의 명확한 문언 우선
  • 엄격해석: 조세법은 엄격하게 해석
  • 요건 충족: 모든 법정 요건 완전 충족
  • 법적 안정성: 예측 가능한 과세

실무진이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

디지털 자산 과세의 한계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자산이라도 기존 세법의 명확한 과세 요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과세되지 않는다는 원칙이 확립됐어요.

세무 당국의 신중한 접근 필요

실질과 기능만으로 기존 과세 대상과 동일시하려는 시도는 법원에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어요.

납세자의 예측 가능성 보장

조세법률주의 원칙에 따라 납세자는 명확한 법령 근거가 있을 때만 세금을 낼 의무가 있다는 점이 재확인됐어요.

이 판결이 말하는 것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자산이라도 기존 세법의 명확한 요건을 충족해야만 과세됩니다. 게임머니는 물품도 용역도 아닌 무체물이므로 인지세법상 상품권이 될 수 없다는 엄격해석 원칙이 적용됐어요. 이 판결로 게임업계는 불필요한 세금 부담에서 벗어났고, 조세법 해석에서 문언주의와 엄격해석 원칙이 다시 한번 확인됐습니다. 앞으로 새로운 디지털 자산에 대한 과세는 명확한 법령 근거가 있어야만 가능할 것 같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