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광고6

법학이야기

호주 거주자가 한국 부동산 팔면 어느 세무서가 과세할까? 조세조약 적용 양도소득세 판례

촤고관리자
등록일 | 2025-08-20 조회수 | 0
호주 거주자가 한국 부동산 팔면 어느 세무서가 과세할까? 대법원 "처분 당시 납세지 관할 세무서가 과세" 한호주 조세조약 적용 양도소득세 사건
대법원 판례 분석

호주 거주자가 한국 부동산 팔면 어느 세무서가 과세할까?

대법원 "처분 당시 납세지 관할 세무서가 과세" - 한호주 조세조약 적용 양도소득세 사건

판례번호
2024두65911
선고일
2025. 5. 15.
원심법원
서울고법
결과
상고기각
?

호주에 거주하는 원고가 한국 부동산을 양도했습니다. 한호주 조세조약에 따라 호주 거주자로 분류되지만 한국에서도 과세권이 있어요.

핵심 쟁점은 과세관할을 언제 시점으로 판단하는가였어요. 원고는 "양도 당시 호주 거주자였으니 과세관할이 없다"고 주장했지만, 대법원은 "처분 당시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며 용산세무서의 과세처분이 적법하다고 봤습니다.

과세관할의 복잡한 국제적 구조

이 사건의 배경

국제조세와 조세조약의 복합적 적용 - 호주 거주자가 한국 부동산을 양도할 때 어느 나라 세무당국이 어떤 기준으로 과세할지의 문제

국세기본법 제44조 (과세관할)

국세의 과세표준과 세액의 결정 또는 경정결정은 그 처분 당시 그 국세의 납세지를 관할하는 세무서장이 한다.

핵심 쟁점

과세관할 판단의 기준 시점이 언제인가? 양도 당시인가, 처분 당시인가? 이에 따라 관할 세무서가 달라질 수 있어요.

조세조약과 국내법의 관계

한호주 조세조약에 의해 호주 거주자로 분류되어도 부동산 양도소득은 원천지국인 한국에 과세권이 있어서 국내세법이 적용돼요.

원고 vs 세무서의 과세관할 다툼

원고 주장 (패소)
  • 양도 당시 기준: 부동산 양도 시점 거주지로 판단
  • 호주 거주자: 한호주 조세조약상 호주 거주자
  • 과세관할 부재: 용산세무서에 관할권 없음
  • 처분 무효: 관할권 없는 처분으로 위법
세무서 입장 (승소)
  • 처분 당시 기준: 과세처분 시점이 기준
  • 비거주자 과세: 부동산 소재지 관할
  • 국내법 적용: 원천지국 과세권으로 국내법 우선
  • 적법한 처분: 부동산 소재지 관할 세무서 과세
대법원의 핵심 판단

"과세관할은 그 결정 등이 이루어진 시점을 기준으로 판단하며, 부동산 양도소득은 국내세법에 따라 과세관할이 정해진다"

대법원이 제시한 명확한 판단 기준

1. 과세관할 판단의 기준 시점

국세기본법 제44조에 따라 '그 처분 당시'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하고, 양도 당시가 아닌 과세처분 당시의 납세지가 기준이에요.

2. 조세조약과 국내법의 관계

부동산 양도소득처럼 원천지국 과세권이 인정되는 경우 과세관할은 조세조약이 아닌 국내세법에 따라 정해진다고 명확히 했어요.

3. 비거주자의 납세지 기준

비거주자의 부동산 양도소득세부동산 소재지를 납세지로 하므로 해당 지역 관할 세무서가 과세권을 가진다고 봤어요.

4. 원심 판단의 부분적 오류 지적

원심이 양도 당시를 기준으로 판단한 부분조세조약을 과세관할 판단 근거로 제시한 부분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지만 결론은 맞다고 봤어요.

국제조세 실무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

외국인 투자자 과세 예측성 향상

과세관할 판단 기준이 명확해져서 외국인이 한국 부동산 투자시 어느 세무서에서 과세받을지 예측할 수 있게 됐어요.

세무 당국의 관할권 명확화

처분 당시 기준으로 관할이 정해지므로 세무서 간 관할 다툼이나 납세자 혼란을 줄일 수 있어요.

조세조약 해석의 한계

조세조약이 과세권 배분은 하지만 구체적인 과세관할이나 납세지는 국내법이 정한다는 원칙이 확립됐어요.

국제조세 소송 전략 변화

과세관할 다툼으로 소송을 지연시키려는 전략의 효과가 제한되고, 실체적 쟁점에 집중하는 경향이 강화될 것 같아요.

실무진이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

잘못된 이해
  • 양도시 기준: 부동산 양도 시점으로 관할 판단
  • 조세조약 우선: 조세조약이 과세관할 결정
  • 거주지 기준: 납세자 거주지 세무서 관할
  • 관할 회피: 거주지 변경으로 관할 회피 가능
올바른 이해
  • 처분시 기준: 과세처분 당시 납세지로 판단
  • 국내법 우선: 원천지국 과세시 국내법 적용
  • 부동산 소재지: 비거주자는 부동산 소재지 관할
  • 관할 고정: 처분시 기준으로 관할 확정

국제조세 실무 가이드라인

외국인 투자자 유의사항

한국 부동산 투자시 양도소득세부동산 소재지 관할 세무서에서 부과되므로 해당 지역 세무 환경을 미리 파악해야 해요.

세무대리인의 준비사항

과세관할 다툼보다는 실체적 쟁점에 집중하고, 조세조약 혜택과 국내법 적용을 구분해서 검토해야 해요.

세무 당국의 명확한 기준

처분 당시 납세지 기준으로 관할이 정해지므로 일관된 과세행정이 가능해졌어요.

이 판결이 말하는 것

국제조세에서 과세관할은 처분 당시를 기준으로 판단하고, 원천지국 과세권이 있는 경우 국내법이 우선 적용됩니다. 이번 판결로 외국인의 한국 부동산 투자시 과세관할의 예측 가능성이 높아졌고, 조세조약과 국내법의 적용 영역이 명확히 구분됐어요. 앞으로 국제조세 분쟁에서는 관할권 다툼보다 실체적 세무 쟁점에 집중하는 경향이 강화될 것 같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