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광고6

법학이야기

연구비 환수처분 취소시 선정제외처분도 함께 무효될까? 학술진흥법상 두 처분의 연동관계 명확화한 판례

촤고관리자
등록일 | 2025-08-20 조회수 | 0
연구비 환수처분 취소시 선정제외처분도 함께 무효될까? 대법원 "환수처분이 취소되면 선정제외처분도 자동 소멸" 학술진흥법상 연동관계 명확화
대법원 판례 분석

연구비 환수처분 취소시 선정제외처분도 함께 무효될까?

대법원 "환수처분이 취소되면 선정제외처분도 자동 소멸" - 학술진흥법상 두 처분의 연동관계 명확화

판례번호
2024두57996
선고일
2025. 2. 13.
원심법원
서울고법
결과
일부파기환송
?

대학 교수 A씨는 연구비를 용도 외로 사용했다는 이유로 두 가지 처분을 받았습니다. 연구비 환수처분과 2년간 학술지원 대상자 선정제외처분입니다.

그런데 재판 결과 환수처분만 취소되었어요. 그렇다면 선정제외처분은 여전히 유효할까요? 아니면 환수처분이 취소되면 자동으로 무효가 될까요? 대법원이 이 복잡한 문제에 명쾌한 답을 제시했습니다.

복잡한 처분의 연쇄 과정

BK21 플러스 사업이란?

교육부가 대학의 우수인재 양성을 위해 대규모 연구비를 지원하는 대표적인 학술지원사업입니다. 연간 수십억원이 지원되는 중요한 사업이에요.

2014년~2018년 - 연구비 부정사용
A교수가 학생들의 인건비 계좌를 공동관리하여 약 1억 1천만원을 용도 외 사용
2020년 12월 10일 - 이중 처분
교육부가 환수처분(약 670만원)2년 선정제외처분을 동시에 발령
원심법원 - 부분 승소
환수처분만 취소, 선정제외처분은 그대로 유지 (비례원칙 위반 인정)
대법원 - 완전 승소
선정제외처분도 함께 취소 (연동관계 인정)

학술진흥법상 처분의 정교한 구조

학술진흥법 제19조 (환수처분 근거)

사업비를 용도 외로 사용한 경우 사업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수할 수 있다.

학술진흥법 제20조 제1항 (선정제외처분 근거)

제19조에 해당하여 사업비가 환수된 경우에 학술지원 대상자 선정에서 제외하여야 한다.

두 처분의 연동관계

선정제외처분은 환수처분의 존재를 전제조건으로 합니다. 환수처분이 없으면 선정제외처분도 있을 수 없는 구조예요.

핵심 쟁점

환수처분이 사후에 취소된다면, 그것을 근거로 한 선정제외처분은 어떻게 될까요?

대법원의 명쾌한 판단

"환수처분이 취소되면 선정제외처분은 발령요건을 상실하여 더 이상 효력을 유지할 수 없다"

대법원 판단의 핵심 논리

1. 법조문의 명확한 구조

학술진흥법 제20조는 "환수된 경우"를 요건으로 명시하고 있어서, 환수처분이 없으면 선정제외처분도 있을 수 없다는 점이 분명해요.

2. 취소의 소급효

행정처분의 취소는 처분 시점으로 소급하여 효력이 소멸됩니다. 따라서 환수처분이 취소되면 처음부터 없었던 것으로 봐야 해요.

3. 발령요건의 소멸

환수처분이 소급 소멸하면 선정제외처분의 발령요건 자체가 사라지는 것이므로, 선정제외처분도 자동으로 무효가 된다는 논리예요.

원심의 잘못된 판단

원심법원의 오류
  • 환수처분과 선정제외처분을 별개로 판단
  • 환수처분만 취소하고 선정제외처분은 유지
  • 법조문의 연동구조 간과
  • 논리적 모순 발생
대법원의 올바른 해석
  • 두 처분의 연동관계 정확히 파악
  • 법조문의 구조적 연결성 인정
  • 취소의 소급효과 고려
  • 논리적 일관성 확보

학술연구 실무에 미치는 중대한 영향

연구자들에게 희소식

환수처분을 성공적으로 다투면 선정제외처분까지 자동 해결됩니다. 연구 활동 재개가 훨씬 수월해질 거예요.

변호사들의 전략 변화

환수처분 하나만 집중 공략해도 두 처분을 모두 해결할 수 있게 되었어요. 소송 전략이 단순하고 명확해졌습니다.

교육부의 처분 전략 재검토

환수처분의 적법성을 더욱 신중히 검토해야 하게 되었습니다. 환수처분이 무너지면 모든 것이 무너지기 때문이에요.

대학 행정실무 개선

연구비 관리 시스템을 더욱 투명하게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커졌어요. 애매한 처분은 모두 무효될 위험이 있습니다.

이 판결이 말하는 것

법률이 명확히 연결고리를 만들어놓은 두 처분은 운명을 함께 해야 한다. 환수처분이 취소되면 선정제외처분도 자동으로 소멸한다는 대법원의 판단은 법조문의 구조를 정확히 이해한 결과입니다. 이제 연구자들은 환수처분 하나만 성공적으로 다퉈도 연구 활동 제한까지 모두 해결할 수 있게 되었어요. 복잡해 보이는 행정처분이지만, 결국 법조문이 만들어놓은 논리적 구조를 따라가면 명쾌한 답이 나온다는 것을 보여준 판결입니다.

목록